치매국가책임제의 성공을 위해서는 치매안심센터 구축 등 하드웨어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예방사업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체계 구축도 병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연세대학교 유럽문화연구소 박동준 연구교수는 3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된 ‘치매의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지역단위 알츠 문화네트워크 및 운영체계 구축 토론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박동준 교수는 치매예방을 위해 치매정보 및 코디네이션센터 역할을 하는 '알츠카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알츠카페는 고위험군에게 치매예방 운동, 영양, 여가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곳으로, 외국에서는 이미 운영되고 있다.
이런 알츠카페가 모여 조성되는 알츠 문화공동체의 운영을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알츠 문화공동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같은 신뢰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다”며 “사회에서 소외된 치매고위험군이나 치매환자 발굴하고, 치매안심센터와 치매노인 상태변화도 공유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치매국가책임제의 일환으로 치매안심센터 확충과 치매안심병원 설치 등의 시행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는 치매환자의 사후 관리에 대한 면이 있는데, 알츠카페 및 알츠 문화공동체 조성 등 예방적인 측면까지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동준 교수는 “치매예방사업의 성공 요인은 고위험군 발굴과 이들을 지속적으로 사회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빅데이터를 활용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치매예방관리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치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관련 기관 간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성북구치매지원센터 유승호 센터장은 “치매관리에서 서비스 연계를 위해 협약을 체결하고 관련 기관 간 업무 협의체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며 “필요 업무와 관련해서 지속적으로 회의를 통해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건보공단 측도 알츠존 조성과 같은 치매예방사업에 동의했다.
건보공단 노조 박정욱 정책위원은 “알츠카페 운영 등 선제적 예방활동에 공단과 지자체가 협력해야 한다”며 “지속적인 조사연구로 콘텐츠를 확보해 제공하고 지자체 모집 인력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